콥트 가톨릭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콥트 가톨릭교회는 이집트를 관할하는 동방 가톨릭교회의 자치 교회이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 이후 콥트 교회와 가톨릭교회의 재결합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고, 17세기부터 선교사 활동을 통해 콥트 가톨릭교회가 형성되었다. 1895년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총대주교좌가 복구되었으며, 현재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중심으로 교계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콥트 가톨릭교회는 교육 및 보건 사업에도 기여하며, 콥트 정교회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콥트 가톨릭교회 | |
---|---|
일반 정보 | |
![]() | |
분류 | 동방 가톨릭 교회 |
전례 | 콥트 전례 |
관할 | 교구 |
수장 직함 | 교황 |
수장 | 직함: 총대주교 이름: 이바힘 아이작 시드라크 |
관련 단체 | 동방 교회 성사성 |
언어 | 콥트어, 아랍어 |
본부 | 에집트 성모 대성당, 카이로, 이집트 |
웹사이트 | 콥트 가톨릭 교회 공식 웹사이트 |
현황 | |
관할 지역 | 이집트,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공동체 |
교구 수 | 166개 (2016년) |
신자 수 | 187,320명 (2017년) |
사제 수 | 243명 |
명칭 |
2. 역사
콥트 가톨릭교회의 역사는 여러 우여곡절을 겪었다. 15세기와 18세기에 콥트 정교회와 가톨릭교회 간의 재결합 시도가 있었으나 콥트인들의 반대로 실패했다.
17세기에는 프란치스코회를 비롯한 가톨릭 선교사들이 이집트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1630년 카푸친회가 카이로에 선교단을 세웠고, 1675년에는 예수회가 이집트에 진출했다. 1713년 알렉산드리아 콥트 총대주교가 다시 로마에 순종했지만, 이 역시 오래가지 못했다. 1741년, 예루살렘의 콥트 정교회 주교 안바 아타나시오스가 가톨릭으로 회심했고, 1781년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그를 콥트 가톨릭 신자들의 대목구장으로 임명했으나, 아타나시오스는 다시 콥트 정교회로 돌아갔다.
1824년, 오스만 제국의 요청으로 교황 레오 12세는 알렉산드리아에 콥트 가톨릭 총대주교좌를 설정했으나, 명목상으로만 존재했다. 1829년, 오스만 제국은 콥트 가톨릭 신자들이 자체적인 교회를 건립하는 것을 허용했다.
1895년, 교황 레오 13세는 콥트 가톨릭 총대주교좌를 복구하고, 키릴로스 마카리오스 주교를 총대주교 대리로 임명했다. 1899년, 레오 13세는 마카리오스를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 임명하고 키릴로스 2세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그러나 마카리오스는 반대에 부딪쳐 1908년 사임했다. 이후 1947년까지 총대주교좌는 공석이었고, 교황청 관리자가 감독하였다.
2. 1. 초기 역사
451년 칼케돈 공의회 이후, 콥트 교회는 양성론을 따르는 이들과 그렇지 않은 이들로 분열되었다. 15세기와 18세기, 콥트 정교회와 가톨릭교회 간의 재결합 시도가 있었으나, 콥트인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4][5]17세기, 프란치스코회를 위시한 가톨릭 선교사들이 이집트에 진출하여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 1630년 카푸친회가 카이로에 선교단을 설립했고,[5] 1675년에는 예수회가 이집트에 진출했다.[19][7][15] 초기에는 콥트인들과의 관계가 좋지 않았지만, 1633년 카푸친 사제인 뱅돔의 아가탕젤로가 카이로에 도착하면서 긴장이 완화되기도 했다. 아가탕젤로는 1638년 에티오피아에서 순교했다.[6]
1713년 알렉산드리아 콥트 총대주교는 다시 로마에 순종했지만, 이 일치 역시 오래가지 못했다.[20][16] 1741년, 예루살렘의 콥트 정교회 주교 안바 아타나시오스가 가톨릭으로 회심했다.[20][8] 1781년,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아타나시오스를 콥트 가톨릭 신자들의 대목구장으로 임명했으나,[19][7] 아타나시오스는 다시 콥트 정교회로 돌아갔다.[19][7]
2. 2. 총대주교좌 설치 및 발전
1824년, 오스만 제국의 요청으로 교황 레오 12세는 알렉산드리아에 콥트 가톨릭 총대주교좌를 설정했으나, 이는 명목상으로만 존재했다.[19] 1829년, 오스만 제국은 콥트 가톨릭 신자들이 자체적인 교회를 건립하는 것을 허용했다.[19]1895년, 교황 레오 13세는 콥트 가톨릭 총대주교좌를 복구하고, 키릴로스 마카리오스 주교를 총대주교 대리로 임명했다. 마카리오스는 시노드를 주최하여 일부 라틴 교회의 관습을 도입했다. 1899년, 레오 13세는 마카리오스를 콥트 가톨릭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 임명하고 키릴로스 2세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그러나 마카리오스는 많은 반대에 부딪쳐 1908년 교황에게 요청하여 총대주교직을 사임했다. 이후 1947년 새로운 총대주교가 선출될 때까지 총대주교좌는 공석으로 유지되었으며, 교황청 관리자가 감독하였다.[21]
3. 교계제도
콥트 가톨릭교회는 이집트만을 관할하는 하나의 교구로 구성되어 있다. 총대주교는 알렉산드리아라는 명칭을 사용하지만, 실제 주교좌는 이집트의 수도 카이로에 있다.[7]
총대주교는 알렉산드리아, 아시우트, 기자, 이스마일리아, 룩소르, 민야, 소하그 등 총 7명의 보좌 주교를 두고 있다.
1824년 교황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구를 설립했지만,[7] 명목상의 것이었다.[7] 1829년 오스만 제국은 콥트 가톨릭 신자들이 자신의 교회를 건설하는 것을 허용했다.[7]
이후 신자 수가 증가하여 레오 13세는 1895년 가톨릭 총대주교구를 복원했다.[8] 그는 키릴로스 마카리오스 주교를 총대주교 대리로 임명했고, 마카리오스는 시노드를 통해 일부 라틴식 관행을 도입했다. 1899년 레오 13세는 마카리오스를 콥트인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 임명하여 키릴로스 2세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했다. 그는 논란으로 인해 1908년 교황의 요청으로 사임했고, 총대주교좌는 1947년까지 공석으로 남아 있었다.[7]
4. 수도회
콥트 가톨릭교회에는 콥트 수도원이 없지만, 다음과 같은 수도회가 활동하고 있다.
구분 | 수도회 |
---|---|
여성 수도회 | 성심 자매회, 예수 마리아 콥트 자매회, 예수의 작은 자매회[19] |
남성 수도회 | 프란치스코회[19] |
5. 교육 및 보건 사업
사제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카이로 외곽에 있는 إكليريكية الأقباط الكاثوليك بالمعادي|성 레오 총대주교 신학교ar에서 교육을 받는다. 콥트 가톨릭교회는 100개 이상의 본당에서 초등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일부는 중고등학교도 운영한다. 교회는 병원 한 곳, 여러 개의 진료소와 고아원을 운영하고 있다.[10]
6. 콥트 정교회와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2017
http://www.cnewa.org[...]
2019-06-19
[2]
웹사이트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2010
http://www.cnewa.org[...]
Catholic Near East Welfare Association
2011-12-28
[3]
웹사이트
الكنيسة الكاثوليكية تحتفل بذكرى القديس فالنتينو الأسقف
https://www.dostor.o[...]
2021-02-14
[4]
서적
Laetentur Caeli: Bulls of Union with the Greeks, Armenians, Coptic, and Ethiopian Churches
https://play.google.[...]
2007-01-01
[5]
백과사전
Coptic Relations With Rome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1-01-01
[6]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https://books.google[...]
Burns & Oates
[7]
웹사이트
The Coptic Catholic Church
http://www.cnewa.org[...]
Catholic Near East Welfare Association
2012-01-27
[8]
백과사전
[9]
웹사이트
Patriarchal See of Alexandria
http://www.gcatholic[...]
GCatholic.org
2012-01-27
[10]
웹사이트
Pontifical Mission - The Coptic Catholic Church
http://www.cnewa.org[...]
2017-01-20
[11]
웹사이트
Upper Egypt’s Copts: Coptic Christians strive to improve the lot of all Egyptians.
https://cnewa.org/ma[...]
2020-09-20
[12]
웹사이트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2017
http://www.cnewa.org[...]
2019-06-19
[13]
웹사이트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2010
http://www.cnewa.org[...]
Catholic Near East Welfare Association
2011-12-28
[14]
웹사이트
الكنيسة الكاثوليكية تحتفل بذكرى القديس فالنتينو الأسقف
https://www.dostor.o[...]
2021-02-14
[15]
웹사이트
The Coptic Catholic Church
http://www.cnewa.org[...]
Catholic Near East Welfare Association
2012-01-27
[16]
웹사이트
Eastern Churches
http://en.wikisource[...]
[17]
웹사이트
Patriarchal See of Alexandria
http://www.gcatholic[...]
GCatholic.org
2012-01-27
[18]
웹사이트
Pontifical Mission
http://www.cnewa.org[...]
2017-01-20
[19]
웹인용
The Coptic Catholic Church
http://www.cnewa.org[...]
Catholic Near East Welfare Association
2012-01-27
[20]
웹사이트
Eastern Churches
http://en.wikisource[...]
[21]
웹인용
Patriarchal See of Alexandria
http://www.gcatholic[...]
GCatholic.org
2012-01-27
[22]
웹인용
Pontifical Mission - The Coptic Catholic Church
http://www.cnewa.org[...]
2017-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